Cent OS


[라즈베리파이3]

- 목표 : 라즈베리파이3를 기반으로 CetnOS를 설치하고 구동하는 것이 목표


[라즈베리파이4]Linux Setup -3. (실패기)에 대한 대안 글이다.

- 해결책 : 죠낸또이또이님에 조언을 받아 라즈베리파이4에 다시 한번 더 CentOS7을 설치 할 예정

https://forcetyty.tistory.com/19?category=809050

 

[라즈베리파이4]Linux Setup - 3. (실패기)

[라즈베리파이4] - 실패기 - - 다양한 파일을 시도해 보았지만, 라즈베리파이4에 CentOS7을 설치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지만, ARMv8 아키텍처와 11월 25일 시점에 있는 ARM CentOS..

forcetyty.tistory.com


[Install - 과정]

  1. Rufus 실행
  2. 설치 OS 선택
  3. Rufus를 이용 - MicroSD에 CentOS 설치
  4. 라즈베리파이3와 MicroSD 결합
  5. 부팅

[Step.1 - Rufus 실행 & Step.2 - 설치 OS 선택]

CentOS 설치

- Rufus를 실행시킨 후, 컴퓨터에 인식된 microSD를 장치에서 선택.
- 부트 선택을 누르게 되면 [CentOS 설치] 이미지 오른쪽에 있는 화면처럼 설치파일을 선택 할 수 있다.
- 설치에 사용한 파일 : CentOS-Userland-7-armv7hl-RaspberryPI-Minimal-1908-sda.raw.xz


[Step.3 - Rufus를 이용 - MicorSD에 CentOS 설치]

CentOS 이미지 파일 Boot

- Rufus에서 장치를 선택하고, 부팅 이미지를 선택하면 [CentOS 이미지 파일 Boot]와 같이 설치가 진행된다.


[Step.4 - 라즈베리파이3와 microSD 결합]

라즈베리파와 MicroSD 연결

- CentOS 이미지가 담긴 MicroSD를 라즈베리파이 MicroSD 단자와 결합


[Step.5 - 부팅]

부팅 초기화면

- 세부설정이 필요가 없다...

- MicroSD를 라즈베리파이3와 결합해준 후 전원만 연결하면 자동으로 CentOS가 구동이 된다.
- 초기에, 파티션 설치나, 소프트웨어 선택, Root 암호 설정 등을 고려했지만, 그럴 필요가 없다.
- Minimal 버전이기에 최소한의 패키지만 설치하기 때문이다.



DVD ISO : CentO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패키지,일반 패키지 포함, 설치중 패키지 선택 가능한 파일

Everything ISO : CentOS와 관련된 패키지 모두가 포함된 파일

Minimal ISO : CentO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패키지만 포함


CentOS 부팅

- MicroSD에 들어가 있는 CentOS가 문제가 없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부팅이 완료된다.

- 초기 계정과 비밀번호는

- 계정 : root
- 비밀번호 : centos

[결론]

- 라즈베리파이3에는 안정적으로 CentOS 7 설치 완료 되었다.

- 배운점은 Centos도 window 처럼 Enterprise / Education / Pro / Home 과 같은 다양한 에디션이 있는것을 배웠다.

DVD ISO : CentO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패키지,일반 패키지 포함, 설치중 패키지 선택 가능한 파일

Everything ISO : CentOS와 관련된 패키지 모두가 포함된 파일

Minimal ISO : CentO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패키지만 포함


[향후방안]

CenOS 네트워크 설정부터 시작해서, Linux 명령어 그리고 파일구조 시스템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면 실습 할 계획이다.


 

라즈베리파이3


[라즈베리파이 3]

- 목적 : 라즈베리파이3 기반으로한 CentOS 7 설치 전 확장성 및 보드 안전을 위한 케이스 조립

- 목표 : 라즈베리파이 3 케이스 조립

- 케이스 구매처 : 메카솔루션


[조립기]

- 과거 AI스피커 키트를 구매했던 적이 있기에 AI스피커 키드에 들어 있는 라즈베리파이 3 B+를 사용하기로 했다.

- 추가로, AI스피커 키트의 부속과 기능은 라즈베리파이 4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라즈베리파이 AI 스피커 박스와 구성품

- 구성품은 스피커 키트와 음성인식 모듈, 케이블, 8Gb 메모리 등이 들어 있다.

라즈베리파이 3 B+

- 라즈베리파이 3 B+와 라즈베리파이 4의 스펙 차이 아래 표와 같다.

SPEC Raspberry Pi 4  Raspberry Pi 3 B+
CPU 1.5-GHz, Quad-Core Broadcom BCM2711B0 Cortex A-72 1.4-GHz, Quad Core Broadcom BCM2837B0 Cortex A-53
RAM 1GB/2GB/4GB DDR4 1GB DDR2
GPU 500 MHz VideoCore VI 400 MHz VideoCore IV
Video Out dual micro HDMI ports single HDMI port
Max resolution 4K 60 Hz + 1080p or 2x 4K 30 Hz 2560 x 1600
USB Ports 2x USB 3.0 / 2x USB 2.0 4x USB 2.0
Wired Networking Gigabit Ethernet 330 Mbps Ethernet
Wireless 802.11ac (2.4 / 5 GHz), Bluetooth 5.0 802.11ac (2.4 / 5 GHz), Bluetooth 4.1
Charging Port USB Type-C micro USB
Power Requirement 3A, 5V 2.5A, 5V
Size 3.5 x 2.3 x 0.76 inches (88 x 58 x 19.5mm) 3.2 x 2.2 x 0.76 inches (82 x 56 x 19.5mm)
Weight 46 g 50 g

[케이스 조립]

 부속품 확인

케이스 구성품

- 케이스 구성품을 나열 배치해 보면 위와 같은 사진으로 나열 할 수 있다.

케이스 구성품

- 구성품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 팬 + 팬조립을 위한 (볼트 x4 / 너트 x4)

- 상판 + 하판

- 팬 보호대 + A(하판과 라즈베리파이 조립을 위한 볼트 x4 / 너트 x4 / 받침대 x4 )

- B(상판과 하반을 띄어주는 기능을 하는 지지대 x4 / 하단 지지대 x4 / 상부 나사 x4)

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하판 조립

- 하판에 조립 순서는 하판과 *보드의 위치 확인 *하판과 나사 결합 *받침대 결합 및 볼트 결합 순이다. 

*보드의 위치확인

하판과 라즈베리파이 위치 확인 그리고 필름 제거

- 필름은 제거 하지 않아도 되지만, 오른쪽 사진과 같이 제거하였다.

- 라즈베리파이 마이크로 SD를 꽂는 곳과 하판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서로에 위치 이다.

 

*하판과 나사 결합

하판과 나사 결합

- 위 사진처럼 A에 있는 긴 나사를 하판 뒷 부분에 넣어준 후, 재빠르게 뒤집어 주면 된다.
다만, 이게 말 처럼 쉽지는 않았다.
- 그 다음 투명한 받침대를 그 위에 올려 놓아 주면 된다.

 

*받침대 결합 및 볼트 결합

라즈베리파이 결합

- 위의 사진과 같이 하판과 나사가 결합하고 받침대가 올라 갔으면 그 위에 라즈베리파이를 올리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볼트 결합

- 위의 사진과 같이 라즈베리파이 보드와 하판이 결합된 후에 A에 있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해 주면 된다.

- 이때, 결합이 약하다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강하게 체결해주면 된다.

케이스 조립

- 하판과의 결합이 완료된 모습


▶ 지지대 조립

- 상판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먼저 조립해야 한다.

라즈베리파이 지지대 결합

- B에 있는 짧은 나사를 하판에 연결해주면 되는데, 이때 좀 더 쉽게 해주기 위해 밑 짧은 나사를 미리 배치한 후 하판을 그 위에 올려주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조금 더 쉬운 결합 방법이다.

- 후에, B에 있는 긴 나사를 오른쪽 사진과 같이 연결해주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지지대 결합 완료 사진


▶ 상판 조립

- 상판의 조립은 상판과 팬조립이 먼저 되어야 한다.

위치 확인

- 위 사진과 같이 상판의 위치와 라즈베리파이에 포트의 위치를 확인 한다.

상판과 팬 결합

-  위의 사진과 같이 상판에 팬을 결합할때 주의해야 할 점은 팬의 바람 방향이다.

- 위의 사진과 같은 경우 바람이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한 것이기에 만약 아래에서 위로 바람을 보내고 싶다면 사진과 반대로 팬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 팬 바람의 방향이 결정되었다면, C에 있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서 결합하면 된다.

 

방열판과 팬의 결합

- 추가로, 케이스 구성품에는 없지만, 여분에 방열판이 있기에 설치해주었다.

- 방열판을 설치하며, 팬과의 접촉이 없는지 확인 결과 이상이 없기에 진행하였다.


▶ 상판결합

- 최종 조립은 지지대와 상판을 결합하면 끝이 난다.

팬과 라즈베리파이 동작 이상 유무 확인

- 위의 사진과 같이 지지대와 상판을 가 결합한후 동작을 시켜보면 된다.

- 동작을 시켜본 결과 이상이 없다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최종 결합된 사진


[추후 방향]

- 위와 같은 케이스를 선택한 이유는 추후에 확장성을 위해서 이다.

- 위 상단에 있는 둥근 나사를 제거하고 동일한 케이스를 결합하는 식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 확장전, 라즈베리파이3에서 CentOS 7이 구동됨을 확인하였기에, CentOS 7을 설치하여 진행할 계획이다.


 

Cent OS


[라즈베리파이4]

- 실패기 -
- 다양한 파일을 시도해 보았지만, 라즈베리파이4에 CentOS7을 설치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지만,
  ARMv8 아키텍처와 11월 25일 시점에 있는 ARM CentOS 7 파일은 아직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대안 -
  라즈베리파이 3 B+에 시도해 본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라즈베리파이4는 우분투나 라즈비안을 설치 할 예정이고, CetOS는 라즈베리파이3 B+에 설치할
  계획이다.


[실패기]

- 시도해본 파일

시도해본 파일

- CentOS-7-aarch64.img.xz
- CentOS-7-aarch64-Everything-1908.iso
- CentOS-7-aarch64-rootfs-7.4.1708.tar.xz
- CentOS-Userland-7-armv7hl-generic-GNOME-1908-sda.raw.xz
- CentOS-Userland-7-armv7hl-RaspberryPI-GNOME-1908-sda.raw.xz
- CentOS-Userland-7-armv7hl-RaspberryPI-KDE-1908-sda.raw.xz
- CentOS-Userland-7-armv7hl-RaspberryPI-Minimal-1908-sda.raw.xz

- 7개의 파일에 대해 모두 시도해보았지만, 전부 실패했다.

- 초기에 화면이 뜬후 더 이상 진행이 안되거나, 아예 화면이 안뜨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증상


[대안]

라즈베리파이3 B+

- 위에 언급한 파일 중 CentOS-Userland-7-armv7hl-generic-GNOME-1908-sda.raw.xz 파일을 이용하여 라즈베리파이 3 B+에 설치하니 정상 동작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 서두에 언급했듯이 라즈베리파이 4는 우분투나 라즈비안을 올릴 계획이다.

- 라즈베리파이3 B+에는 CentOS를 올린 후 최초에 계획했던, CentOS  Server 실습과 온프레미스 환경을 구축 계획이다.


 

'Linux >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3]Linux Setup  (0) 2020.01.23
[라즈베리파이3]Case-조립기  (0) 2019.12.02
[라즈베리파이4]Linux Setup - 2.  (0) 2019.11.19
[라즈베리파이4]Linux Setup - 1.  (12) 2019.11.16
[라즈베리파이4]Board Spec  (0) 2019.11.05

Cent OS


[라즈베리파이4]

- 목표 : 라즈베리파이에 aarch64 version에 CentOS를 설치해보자
- 결론 : 실패 
- 증상 : Boot 되지 않는다.

-- 예측
--- 1. Boot image가 load 되지 않는다.
--- 2. Boot는 되었지만, HDMI에 영상 신호를 전송 할 수 없다. 
        Driver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Boot image에 문제가 있거나.


[Install - 과정]

  1. Rufus 다운로드 & 설치
  2. CentOS 다운로드
  3. Rufus로 다운받은 CentOS aarch64 image file와 인식된 microSD카드 설정
  4. Boot 가능한 디스크로 Install
  5. Raspberry pi에 microSD카드 연결 - Boot 확인

[Step.1 - Rufus 다운로드 & 설치]

Rufus 메인페이지 / Rufus 다운로드 위치

- Rufus 홈페이지에서 Rufus를 다운 받으면 된다.
  별도에 설치과정은 없기에 다운받기만 하면 끝난다.

[ 홈페이지 : https://rufus.ie/ ]

 

Rufus

 

rufus.ie


[Step.2 - CentOS 다운로드]

CentOS 다운로드

[다운로드 사이트와 관련된 설명 : https://forcetyty.tistory.com/17 ]

- CentOS 메인홈페이지에서 -> GET CENTOS -> More download choices
   -> AltArch Releases -> CentOS Version 7 (aarch64) Everything(ISO) 선택

- 대한민국가 가장 근접한 거리에 있는 일본에서 다운로드 받도록 하자.
   추가로, 더 빠른 다운속도를 보장하는 곳이 있을 수 있다. 이번 설치과정에서는 일본에 있는 
  yamagata university에서 다운로드 받기로 했다.

- 링크를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 받아 진다.

[ 다운로드 사이트 :
http://ftp.yz.yamagata-u.ac.jp/pub/linux/centos-altarch/7.7.1908/isos/aarch64/CentOS-7-aarch64-Everything-1908.iso ]


[Step.3 - Rufus로 다운받은 CentOS aarch64 image file과 인식된 microSD카드 설정]

Rufus 실행시 화면

- [Step.1]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실행되게 된다.

microSD카드 이미지 인식 및 ISO file 설정

- Rufus에서 인식된 microSD를 선택한후, '선택' 버튼을 눌러 CentOS-7-aarch64-Everything-1908.iso 파일을 선택


[Step.4 - Boot 가능한 디스크로 Install]

설치
설치완료 후

- Rufus로 Boot 이미지가 만들어 졌다면, 위와 같이 확인 할 수 있다.


[Step.5 - Raspberry pi에 microSD카드 연결 - Boot 확인]

설치 및 운용
설치 및 운용

- 라즈베리파이에 mircoSD 카드를 연결 한 후 재부팅 해보았지만, 연결되지 않는다.

- 여러방법으로 NTFS 뿐만 아니라, FAT로 설정해보아도 부팅이 되지 않는다.
- 그 이유를 

--- 1. Boot image가 load 되지 않는다.
--- 2. Boot는 되었지만, HDMI에 영상 신호를 전송 할 수 없다. 
        Driver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Boot image에 문제가 있거나.

위와 같이 생각한다. - 더 자세한 내요은 좀 더 찾아봐야 할 듯 하다.


[추가]

- CentOS image안에 있는  config.txt 파일을 찾아서 HDMI 강제 연결하는 해결책도 해보았지만 실패했다.

[참고 사이트 : https://snakebones.tumblr.com/post/113501238063/%EB%9D%BC%EC%A6%88%EB%B2%A0%EB%A6%AC%ED%8C%8C%EC%9D%B4-hdmi-%EA%B0%95%EC%A0%9C-%EC%97%B0%EA%B2%B0 ]

- 일단, CentOS가 들어있는 microSD카드안에서 config.txt 파일을 찾아봤지만 파일이 존재하지 않았다.

파일없음


[결론]

- 결론 : 실패 
- 증상 : Boot 되지 않는다.

-- 예측
--- 1. Boot image가 load 되지 않는다.
--- 2. Boot는 되었지만, HDMI에 영상 신호를 전송 할 수 없다. 
        Driver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Boot image에 문제가 있거나.

[향후 방안]

결론, CentOS7 - aarch64 파일은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위 상황으로는 안되는 것 같다.
그에 따라, armhfp로 다시한번 시도하려고 한다.


 

Cent OS


[라즈베리파이4]

- 목표 : 라즈베리파이에 Linux 종류 중 하나인 CentOS 설치전 사전 작업


Linux OS

[ What is CentOS ??? ]
  CentOS 프로젝트에서 Red Hat 제휴로 개발된 컴퓨터 운영체제.

- Use
  운영체제로써 동작하며, 주로 데스크탑(워크 스테이션), 메인 프레임, 서버
  에서 주로 사용.

- 장점
  Red Hat Enterprise Linux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플랫폼.

- 단점
  Red Hat과 완벽하게 호환되지만, 유료 버전인 Red Hat과는 다르게 기술지원을 받을수 없다.

- 특징

프로그래밍 언어
OS 계열 UNIX 계열
소스형태 오픈소스
마케팅 대상 데스크탑(워크스테이션), 메인 프레임, 서버 
업데이트 방식 YUM(패키지 킷)
패키지 매니저 RPM 패지키 매니저
플랫폼 x86-x64
커널 모놀리식 커널(Linux)
기본 UI  그놈(GNOME )

[ Install ]

- CentOS 메인 홈페이지 : https://www.centos.org/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is a community-driven free software effort focused on delivering a robust open source ecosystem around a Linux platform. We offer two Linux distros: – CentOS Linux is a consistent, manageable platform that suits a wide

www.centos.org

  관련된 자료를 찾거나 참고할때 접속하면 좋을 듯 하다.


※ 아래 접속 주소 또는 화면은 언제든지 바뀔수 있습니다. ※

[Step.1]

CentOS - 접속주소

- 접속주소 : https://www.centos.org/download/

 

Download CentOS

Download CentOS You now have two ways to consume the CentOS platform, CentOS Linux and CentOS Stream. CentOS Linux is a rebuild of the freely available sources for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CentOS Stream is a midstream distribution that provides a c

www.centos.org

- 위 접속주에서 접속하면 CentOS를 다운받수 있다.
- 이화면에서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 한 후 다운받으면 된다.
- 가장 일반적으로는 CentOS Linux DVD ISO에 접속해 자신에게 맞는 것 을 다운 받는다.

CentOS 다운로드 사이트

- 라즈베리에 설치하기 위한 CentOS를 선택하기 위해서, 좀 더 많은 버전과 종류가 있는 곳을 선택했다.
  More download Choices를 선택한 후 접속하면 된다.


[Step.2]

- 설치버전 CentOS 7 버전 설치

라즈베리파이 설치 화면

-  More download Choices 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있는곳으로 이동된다.
-  여기서 단순히, 다운로드 받고 끝나면 이렇게 장황한 포스팅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궁금증

- 1. AltArch ???
   - AltArch - The Alternative Architecture SIG(Software Improvement Group)의 약자이다. 
   - 즉, 아키텍처(CPU)가 다른 연산장치를 지원해주기 위한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CentOS - Community]

 To extend the CentOS Linux usability base beyond the architectures supported already in the code base, and 
 beyond what is being done in the Core SIG.

- CentOS Linux를 기존 사용되고 있는 아키텍처 환경 이상으로 핵심 SIG를 작동하게 하는 것.

- 관련사이트
https://wiki.centos.org/SpecialInterestGroup/AltArch

 

SpecialInterestGroup/AltArch - CentOS Wiki

The Alternative Architecture SIG Goal To extend the CentOS Linux usability base beyond the architectures supported already in the code base, and beyond what is being done in the Core SIG. Board Member helping: JimPerrin & KaranbirSingh Current Status This

wiki.centos.org

- 2. aarch64 & armhfp

- AltArch가 다른 아키텍처(CPU)를 지원하기 위한 그룹임을 알았다.

- 지원하는 그룹에 ARM이 있음을 확인했다.
  즉, 라즈베리파이의 Process인 Broadcom BCM2711B0 Cortex A-72를 지원함을 알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 스펙에 대한 설명]
  https://forcetyty.tistory.com/16?category=809050
  또한, 라즈베리파이는 이미 우분투 기반의 라즈비안이라는 운영체제를 공식 운영체제로써 지원하고 있다.

설치 할 리눅스 종류

- AArch64 
 - Arm Architecture 64로써, ARM 64 Bit Process를 지원하기 위한 버전이다.
   주로 ARMv8과 ARm64를 위해서 디자인 되었다.

[CentOS - Community]

AArch64 is the name for the new 64-bit ARM architecture, also known as ARMv8 or ARM64. Hardware designed for this hardware specification is new, and still developing. If you have a piece of AArch64 hardware that is not currently supported by the project, please consider joining this SIG.

- AArch64는 ARMv8 또는 ARM64라고 하는 새로운 64bit ARM 아키텍처의 이름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사양에 맞게 설계된 하드웨어는 새로운 아키텍처이고, 여전히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지원되지 않는 AArch64 하드웨어의 경우 SIG에 가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위에서 알수 있듯, aarch64는 ARM 64 Bit용 인 것을 알수 있다.

- Armhfp
 - Arm Hard Flat으로써, 다양한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작은 컴퓨터와 보드를 위한 버전이다.

[CentOS - Community]

ARM processors are widely used on various devices, like smartphones, tablets and small computers/boards. The main advantages of the ARM processor are:
- Low power consumption
- Low cost
- Very small device form factor

- 즉, 저전력 컴퓨팅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버전인 것이다.

지원하는 보드

- 위 그림을 보면 알수 있듯, armhfp는 라즈베리파이 및 기타 보드들을 지원한다.

- 관련사이트
https://wiki.centos.org/SpecialInterestGroup/AltArch/armhfp?highlight=%28armhfp%29#head-f8d7f05601a7ecceedb9c70ca8993fa91a40f5f8

 

SpecialInterestGroup/AltArch/armhfp - CentOS Wiki

Introduction ARM processors are widely used on various devices, like smartphones, tablets and small computers/boards. The main advantages of the ARM processor are: Low power consumption Low cost Very small device form factor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wiki.centos.org


- 결론

 - AArch64는 64bit ARM architecture를 위한 것이고, armhfp는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보드를 위한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라즈베리파이 3B+의 경우 Cortex A-53를 채용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는 64bit 명령어 세트를 탑재하고 있지만,
   과도기적인 성격을 가진 버전이다.

- 실패할수도 있지만, 
  Cortex A-72는 ARMv8-A64 아키텍처 명령어 세트를 구현했으며, ARM 64bit 체계인 ARMv8 아키텍처이기 때문에
  AArch64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 할것이다.

Download

- 다운로드를 누르게되면 The following mirrors should have the ISO images available: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될텐데 가장 속도가 잘나오근 곳으로 다운받으면 된다.


2020-11-19 현재 다운로드 URL과 화면이 변경된것 같습니다.

아래에 주소에서 다운 받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 주소 : isoredirect.centos.org/altarch/7/isos/aarch64/


 

라즈베리파이4


[라즈베리파이4]

- 목표 : 라즈베리파이 4에 대한 스펙을 알아보고 각 구성별 특징을 파악


라즈베리파이 상세 스펙

  • Process
    1.5GHz Quad-Core Broadcom BCM2711B0 Cortex A-72
  • Memory
    Micron LPDDR4 - 9FD77 - 4Gb RAM 
  • USB Controller
    VIA VL805-Q6 Chip USB 3.0Host
  • Ethernet Controller
    Broadcom BCM54213PE - Gigabit Ethernet
  • Power
    MXL7704-P4 - Power Circuit
  • WiFi & Bluetooth
    Dual Band (2.4GHz & 5GHz) IEEE 802.11 b/g/n/ac & Bluetooth5.0 module
  • INPUT & OUTPUT 
    USB 2.0 x2 Ports / USB 3.0 x2 Ports / Gigabit Ethernet Port / USB-C Power Input Port / micro-HDMI ports x2
    CSI Camera port / DSI Display port / Micro SD port (Back Side)

위에 언급한 6가지가 라즈베리파이에 핵심 구동부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되는 부분은 Process와 Memory부분이다. Cortex A-17 (Quad-Core)와 4Gb RAM은 라즈베리파이3에서 보여주었던 한계를 완벽히 극복했다고 생각한다.

위의 성능이라면 웹서핑은 물론이거니와 게임을 제외한 모든 작업에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라즈베리파이4는 진정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컴팩 컴퓨터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사이트

https://geeksvoyage.com/raspberry%20pi/package-raspberry-pi4-and-spec/

https://www.micron.com/products/dram/ddr4-sdram

https://raspi.tv/2019/raspberry-pi-4-launches-with-bcm2711-quad-core-cortex-a72-64-bit-soc-running-at-1-5ghz-with-dual-4k-display-capability

https://www.maxlinear.com/ds/mxl7704.pdf

https://www.via-labs.com/product_show.php?id=48

https://www.avnet.com/wps/portal/ebv/products/new-products/npi/2019/broadcom-bcm54213pe/

https://www.electronics-lab.com/project/raspberry-pi-4-look-hood-make/

https://divenire.tistory.com/144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4]

- 구매목적 : 라즈베리파이를 기반으로 한 CenOS 7 Server 구축 

- 목표 : 케이스 조립 - 방열 케이스를 조립후, 팬 동작 유무를 확인하는것이 목표.


전체 구매 목록 확인

- 물품구매에서 잘못 구매한 HDMI 케이블을 재 구매하였다. 

- 재구매한 HDMI 케이블은 Micro HDMI 케이블이고, 제조사는 Tammuz이고, 홈플러스에서 구매하였다.


[케이스 조립]

 부속품 확인

조립전 케이스 부속 확인
케이스 조립 부품 목록

- 부속품은 크게 상판과, 하판으로 나눌수가 있다.

-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판, 하판, 팬 모듈, 육각렌즈, 방열패드, 두꺼운 헤드에 조립나사 x 4, 얇은 헤드에 조립나사 x 8 


▶ 상판 조립

상판과 방열팬 가조립

- 나사를 결합하기에 앞서 방열팬과 상판을 결합한후 전선(팬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선)을 어떻게 위치 시킬것인지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 이번에 결합 한 경우에는 전선을 핀 부근 쪽으로 빼는 것으로 선택하였다.

상판과 팬 결합

- 상판과 팬의 위치 조정이 끝났으면 나사 결합을 해야 한다.

- 이때, 처음부터 나사를 강하게 조이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 위치를 잡은 후에 팬의 위치가 정확해 졌을때 나사를        조이는 것이 좋다.

- 주의!!!! 위에서 언급했듯, 나사헤드의 크기가 다르다, 큰 헤드 x4, 작은 헤드 x8 이기 때문에 나사머리의      크기를 잘봐야 한다. 작은 헤드 x8는 팬과 상판을 결합해주기 위해서 있는 나사이다.

- 상판과 팬에 나사를 결합했으면, 상판 조립은 끝난 것이다.


▶ 방열패드 부착

상판 위치 확인

- 상판 조립 완료후에 라즈베리파이4와 케이스 상판을 결합하여, 방열패드와 맞닿는 부분을 확인해야 한다.

 

방열패드와 밀착되는 부분
방열패드

- 가장 중요한 부분인 CPU의 위치를 확인 한 후 방열패드 스티커를 붙여 주면 된다.

- 방열패드는 상판 하단에 있다. 특히,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CPU와 맞닿는 부분이다.

- 스티커는 그림에 있는 Tape를 띄어 낸후, 볼록한 부위에 붙여주면 된다.

 

추가적으로 붙여준 방열패드

- 여분에 방열패드가 있기에, 추가적으로 메모리와 접촉하는 부위와 무선칩셋 쪽에 붙여 주었다.

- 무선칩셋은 실제 상판과 맞닿지는 않았지만, 약간에 효과라도 볼성 싶어 부착하였다.


▶ 하판 조립

하판 조립

- 하판 조립시에는 나머지 조립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하면 된다.

- 주의!!! 이때, 상판을 라즈베리파이 위에 올려놓은 후에 뒤집어야 한다. 그후, 하판을 부착후에 나머지 나사                 (큰 헤드나사 x4)를 가 결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나사 하나씩 강하게 조립해 나사 결합이 어긋날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4개의 나사를 가 결합후에 상판과 하판의 안정성이 확인되면 그때, 강하게 조립하면 된다.


▶ 팬 동작 확인

팬 동작 확인

- 상판과 하판이 완전 결합된 이후, 팬과 라즈베리파이 커넥터 핀에 연결한후,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 이때 커넥터는 4번과 6번 핀에 연결하면 된다. 왜냐면 4번은 5v 6번은 Ground이기 때문이다.                                    연결시 빨간색이 4번 검색이 6번에 연결되어야 한다.

라즈베리파이 핀 


▶ 결론

- 팬 동작이 확인 되고, 케이스의 흔들림이 없다면 케이스 조립은 끝난것이다.

- 케이스 조립은 나사의 헤드와 팬의 연결 방법만 주의하면 그리 어렵지 않은 것 같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4]

- 구매목적 : 라즈베리파이를 기반으로 한 CenOS 7 Server 구축 


- 구매목록 : 라즈베리파이 4 (4GB) + LAN + HDML (micro-HDML를 구매했어야 했는데...) + mircoSD(Samsung 64G) + 아답터 (3.1A) + 케이스

전체 구매품목

 


- 라즈베리파이 4 구성품

[좌] 라즈베리파이 4 구성품 [우] 라즈베리파이 성능

- 라즈베리파이 4 구성품은 조촐하다. 본품 그리고 설명서가 끝이다.


[좌] 라즈베리파이 3/4 비교 [우] 라즈베리파이 3/4 본품 비교

SpecRaspberry Pi 4 B+Raspberry Pi 3 B+

SPEC Raspberry Pi 4  Raspberry Pi 3 B+
CPU 1.5-GHz, Quad-Core Broadcom BCM2711B0 Cortex A-72 1.4-GHz, Quad Core Broadcom BCM2837B0 Cortex A-53
RAM 1GB/2GB/4GB DDR4 1GB DDR2
GPU 500 MHz VideoCore VI 400 MHz VideoCore IV
Video Out dual micro HDMI ports single HDMI port
Max resolution 4K 60 Hz + 1080p or 2x 4K 30 Hz 2560 x 1600
USB Ports 2x USB 3.0 / 2x USB 2.0 4x USB 2.0
Wired Networking Gigabit Ethernet 330 Mbps Ethernet
Wireless 802.11ac (2.4 / 5 GHz), Bluetooth 5.0 802.11ac (2.4 / 5 GHz), Bluetooth 4.1
Charging Port USB Type-C micro USB
Power Requirement 3A, 5V 2.5A, 5V
Size 3.5 x 2.3 x 0.76 inches (88 x 58 x 19.5mm) 3.2 x 2.2 x 0.76 inches (82 x 56 x 19.5mm)
Weight 46 g 50 g

Raspberry Pi 3 B+

- 라즈베리파이 4는 미디어 성능이 대폭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4K 영상을 2 PORT 지원하는 점.

- 대용량의 이미지 처리를 위한 RAM 성능 향상 [ DDR4 - 4G]

- Gigabit Ethernet 지원 

- 종합해보면, 문서작업용 노트북과 비교해도 결코 떨어지지 않는 그야 말로 정말 작은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기존, 3B+까지는 반쪽짜리 소형 컴퓨터라면, 라즈베리파이 4는 정말 소형 컴퓨터이다.


구매처

라즈베리파이 4 - 메카솔루션[http://mechasolution.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584667&category=]

방열판 - 아이씨팩토리 [https://www.icfactory.co.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2356]

LAN Cable - HDMI - 다이소

microSD - 테크노마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