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지식의 탐구 활동
인터넷 이전에는 책을 통해서 지식을 탐구했고, 인터넷이 발달된 이후에는 검색이라는 활동을 통해 사람은 지식과 정보를 탐구 했다. AI의 소용돌이 속에서 검색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검색이라는 활동은 질문을 던지고 정보 수집하고 정리한 후 체계화 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는 질문을 던지면 AI가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체계화 한 후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해준다. 정보 수집과 정보 체계화의 과정이 생략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론을 하고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산업혁명 시기 증기기관의 발명과도 같은 혁신이라고 생각한다.
개발자들의 지식 집합소였던 StackOverFlow의 질문수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표1] 참고. 왜냐하면 질문을 올리고 답변이라는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화하는 단계없이 ChatGPT에 질문 함으로써 정제된 정보가 가공되어 도출되기 때문이다. 효율성 측면에서 StackOverFlow에 글을 올리는 것보다 압도적으로 가성비가 좋기 때문이다.
압도적으로 가성비가 좋은 ChatGPT는 질문에 대한 답변 뿐만 아니라 이제는 코드까지 잘 짜준다. 팔방미인 ChatGPT는 이제 개발자인 우리의 일자리까지 위협하고 있다.
생존의 문제가 되어 버린 ChatGPT의 역습속에서 우리가 생존하기 위한 필살기는 무엇일까...
> 생각하는 힘 / 응용력 / 질문 잘하는 힘
'개발자 & 공부법 > Developer & Err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극복기] 503 Error 페이지에 이미지가 안떠요!!! (0) | 2024.11.07 |
---|---|
[장애극복기] 503 Error 페이지에 이미지가 안떠요!!! (0) | 2024.11.07 |
[Jr.Developer Note] 개발자 일기 no.3 (0) | 2022.03.15 |
[Jr.Developer Note] 개발자 일기 no.2 (0) | 2020.11.21 |
[Jr.Developer Note] 개발자 일기 no.1 (0) | 2020.11.19 |